Github 개념
[git, github]개념 및 실습
협업 개발: Git과 GitHub 활용하기
소프트웨어 개발은 팀 단위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이번 포스팅에서는 협업 개발에 필수적인 도구인 Git과 GitHub에 대해 알아볼 것임. 또한 애자일 개발 방법론을 통한 효율적인 작업 관리도 살펴볼 것임.
1. 애자일 개발 방법론
애자일 개발 방법론은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임. 주요 사이클은 다음과 같음:
- Planning: 이번 사이클에 작업할 내용을 결정함.
- Standup Meeting: 매일 짧은 미팅을 통해 진행 상황을 공유함.
- Retrospective & Demo: 사이클 마지막 날, 진행된 작업을 평가하고 시연함.
작업 우선순위는 PM(Product Manager) 또는 PO(Product Owner)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Grooming이라고 함. 각 작업에 대한 중요도와 복잡도를 평가하는 과정도 포함됨.
2. 버전 관리 소프트웨어의 필요성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를 관리하는 데 있어 버전 관리 소프트웨어는 필수적임.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음:
- 코드 변경 사항을 쉽게 추적할 수 있음.
- 공동 개발 시 코드의 공유와 변경이 용이함.
- 코드 리뷰 및 백업 기능을 제공함.
소스 버전 관리 도구
- CVS: 오래된 버전 관리 시스템임.
- SVN: 중앙 집중형 버전 관리 시스템임.
- Git/GitHub: 가장 인기 있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GitHub는 Git에 기반하여 버그 추적과 위키 기능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함.
3. Git의 기초 개념
Git은 리눅스를 개발한 리누스 토르발즈에 의해 만들어진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임. Git의 장점은 다음과 같음:
- 여러 개발자가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음.
- 코드 리뷰와 롤백 기능을 제공함.
- 코드 변경 기록을 남기고 필요 시 이전 버전으로 복원할 수 있음.
Git의 주요 기능
- clone: 원격 리포지토리의 복사본을 로컬에 생성함.
- init: 새로운 Git 리포지토리를 생성함.
- add: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지함.
- commit: 변경 사항을 기록함.
- push: 로컬 변경 사항을 원격 리포지토리에 반영함.
- pull: 원격 리포지토리의 변경 사항을 로컬로 가져옴.
- merge: 서로 다른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통합함.
- branch: 기능 개발을 위한 별도의 브랜치를 생성함.
4. GitHub 활용하기
GitHub는 Git을 기반으로 한 소스 코드 호스팅 플랫폼으로, 팀원들과의 협업을 지원함. GitHub를 통해 코드를 공유하고, 변경 사항을 관리하며, 이슈를 추적할 수 있음.
GitHub의 주요 용어
- Repo: Git으로 관리되는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지칭함.
- Branch: 특정 기능 개발을 위해 생성된 메인의 복사본임.
- Pull Request: 자신의 브랜치에서 메인 브랜치로 변경 사항을 반영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임.
5. Pull Request와 협업 흐름
- 브랜치 생성: 특정 기능을 개발하기 위해 브랜치를 생성함.
- 변경 사항 작업: 브랜치에서 코드를 수정하거나 기능을 추가함.
- 커밋: 변경 사항을 커밋하여 로컬 저장소에 기록함.
- 푸시: 로컬 브랜치를 원격 리포지토리에 푸시함.
- Pull Request 생성: 자신의 변경 사항을 메인 브랜치에 병합 요청함.
- 코드 리뷰: 팀원들이 코드를 리뷰하고, 필요 시 피드백을 제공함.
- 병합: 리뷰가 완료되면 변경 사항을 메인 브랜치에 병합함.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 팀원들은 효과적으로 협업할 수 있으며, 코드 품질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
결론
Git과 GitHub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도구임. 협업 개발을 통해 코드 품질을 높이고, 효율적인 작업 관리를 할 수 있음.
댓글남기기